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02

[Unreal/Material] 재질 디버깅 방법 개요 머티리얼을 제작하다보면 디버깅하고 싶을 때가 있다. 디버깅을 도와주는 창을 소개한다. 방법 창 - 출력 로그를 켠다. 2023. 8. 4.
[Unity/Shader] 파트4-3 : 쉐이더 Properties 제작 설명 쉐이더를 생성한다. 머티리얼을 생성한다. 머티리얼에 쉐이더를 적용한다. 오브젝트에 머티리얼을 적용한다. 쉐이더를 더블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 쉐이더에 프로퍼티가 생성된다. 2023. 8. 3.
[Unity/Shader] 실습 전 세팅 Gamma Correction 설명 모니터는 어두운 영역에 집중되어 출력되도록 세팅돼있다. 그래서 컴퓨터는 이미지를 더 밝게 저장한다. 따라서 연산 전, 이미지를 원래처럼 어둡힌 후 연산한다. 연산이 끝나면 다시 밝게 되돌린다. 이 과정을 리니어 워크플로우라고 한다. 리니어 워크플로우 세팅법 책에서는 리니어 워크플로우 상태로 설명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세팅을 해준다. Edit > Project Settings 클릭 > 아래 그림 참고 2023. 8. 3.
[Photoshop] 브러쉬 미리보기 설정 팁 필요성 브러시를 써보기 전까지 형태를 가늠할 수 없다. 방법 - 아래 그림처럼 1,2,3 순서대로 설정한다. - 2에서는 Brush Tip을 체크 후 Brush Name, Brush Stroke를 체크 해제한다. 미리보기가 커져서 형태 확인이 편하다. 2023. 8. 2.
[레퍼런스] 렌즈플레어의 구성요소 필요성 이펙트 작업시, 위와 같은 이미지에서 렌즈플레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분별할 필요가 있다. 구성요소 1 참고링크 플러그인 사이트이나 요소별로 잘 분류하여 놓았다. 렌즈 플레어 이펙트 제작시 형태 참고에 많은 도움이 된다. https://richardrosenman.com/shop/ultraflares/ Ultraflares - Photorealistic Lens Flares Photoshop Plugin Ultraflares is arguably the most powerful and sophisticated lens flare plugin for Adobe Photoshop featuring hundreds of lens flares, glints & light leaks. richardrosen.. 2023. 8. 2.
[Unreal/Material] 노말맵이 핑크색으로 보일 때 해결법 문제 언리얼에서 위 그림처럼 핑크색으로 노말맵이 보일 때가 있다. 해결법 프로젝트 세팅에서 위와같이, DX5 노멀 맵 사용을 체크해제한다. 2023. 8. 1.
[Unreal/Material] 색수차 재질 제작법 결과 제작법 - uv를 오프셋한다. - 각각 R G B로 합쳐서 사용한다. - 기존 색에 multiply로 적용한다. 채도는 desaturation 노드로 조절한다. 기존 색의 밝기 유지를 위해 multiply를 하나 더 만들어 밝기 조절한다. 2023. 8. 1.
[Unreal] Houdini to Unreal 어트리뷰트 호환 목록 기본 어트리뷰트 목록 instance For object-level instancing, See Instancers p position rot rotation scale scale pscale uniform scale Cd color Alpha opacity N normal uv uv uvX additionnal uv channels X from (2..8) uvX에서 X는 uv2, uv3... 등을 말하는 것이다. 미지수 X를 의미한다. 후디니 16.5 이상은 uv SOP 노드를 사용하면 uv 어트리뷰트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어트리뷰트는 플러그인에서 지원된다. 단, 총 UV 어트리뷰트 수가 언리얼의 MAX_STATIC_TEXCOORDS 값(기본값 8개)을 초과하지 않는만큼 uv로 변환된다. 참고.. 2023. 7. 20.
끊임없이 성장하는 법 (유연함의 힘 서평) 학습한다는 생각으로 그 과정에 집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다. 사람이라면 중요한 업무일수록 결과에 집중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책임감이라고 표현할수도 있겠지만, 과한 부담으로 다가오는 순간 효율이 떨어짐을 느낀다. 하지만 유연함의 기술을 적용해 매순간을 연습이라고 생각한다면, 과정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혹자는 무책임하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어찌할 수 없는 결과에 집중하느니, 과정에 집중하고 지속적인 성찰을 하는 것이 오히려 최선의 결과를 낳지 않는가 싶다. 성과는 학습과 성장의 과정에서 자연히 따라오는 부산물이다. 메모'이것은 연습이다' 유연함의 기술을 가장 잘 표현한 문구다. 이 기술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아이디어를 실천하고 그 영향을 관찰한다.. 2023.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