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평81

[서평] 나는 직원 없이도 10억 번다 누구든 그 시기가 다를뿐, 독립을 항상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작게 시작하는 법을 알려준다. 메모 2023. 8. 19.
[서평] 넛지 선택 설계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넛지'는 이끄는 선택 설계다. '슬러지'는 방해하는 선택 설계다. 이 사소한 설계가 큰 변화를 만든다는 점을 알려준다. 사회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환경 설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닫게 한다. 나는 진정한 노력은 의지로 '밀어붙이기'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맞는 '환경 설정'을 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또, 이를 끊임없이 개선해나가는 과정인 것이다. 이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는 책이다. 메모 2023. 8. 15.
[서평] 부자의 그릇 가볍게 읽기 적합한 책이다. 책 첫장의 내용처럼 은퇴가 비단 운동선수에게만 적용되는 것인지 직장인은 과연 다른 처지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느낀다. 이것이 돈에 대한 관점이 바로서야하는 첫째 이유가 아닌가싶다. 하지만 내 취향의 책은 아니긴 하다. 메모 2023. 8. 10.
[서평] 폴리매스 / 다재다능한 사람으로 되돌아가라 자신의 잠재성을 깨닫게 하는 책이다. 자아실현의 로드맵을 제시한다. 폴리매스가 되는 것이 아니라 폴리매스로 되돌아가는 것이라는 문장이 가장 인상 깊었다. 하지만 사례의 나열로 인해 책이 다소 지루하였다. 메모 2023. 8. 8.
[서평] 싱크 어게인 / 다시 생각하라. 그것이 지적 성실함이다. 인지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근거 중심으로 깨닫게 해준다. 다시 생각하는 자세가 지적인 성실함을 의미한다는 말이 가장 와닿았다. 주관이 확고한 것이 정말 좋은 것인지 의심하게 하고 겸손함을 가르쳐준다. 다른 사람을 대할 때 나도 모르게 자기주장이 강한 방향으로 흐를 때가 있다. 그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깨닫게 해준다. 또한 피드백을 주는 법, 피드백을 받는 법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알려준다. 겸손함과 호기심의 자세로 살고자 매순간 노력해야겠다. 메모 2023. 8. 6.
[서평] 레버리지 /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가? 내 삶에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이며, 무엇이 내게 가장 중요한 것인지 생각하게 만든다. 또한 주변 사람들의 가치는 무엇인지 돌아보게 한다. 시간은 투자되거나 낭비된다. 중간은 없다. 라는 말이 가장 와닿았다. 메모 2023. 8. 5.
끊임없이 성장하는 법 (유연함의 힘 서평) 학습한다는 생각으로 그 과정에 집중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었다. 사람이라면 중요한 업무일수록 결과에 집중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이 책임감이라고 표현할수도 있겠지만, 과한 부담으로 다가오는 순간 효율이 떨어짐을 느낀다. 하지만 유연함의 기술을 적용해 매순간을 연습이라고 생각한다면, 과정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혹자는 무책임하다고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어찌할 수 없는 결과에 집중하느니, 과정에 집중하고 지속적인 성찰을 하는 것이 오히려 최선의 결과를 낳지 않는가 싶다. 성과는 학습과 성장의 과정에서 자연히 따라오는 부산물이다. 메모'이것은 연습이다' 유연함의 기술을 가장 잘 표현한 문구다. 이 기술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1. 아이디어를 실천하고 그 영향을 관찰한다.. 2023. 7. 12.
분열에 대응하라 (도둑맞은 집중력 서평) 집중력이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임을 근거 중심으로 깨닫게 하였다. 책의 말미에는 해결책으로 사회적 운동에 관한 얘기도 나오지만, 나는 당장 실천할 수 있는 개인적 해결책을 우선 접목해보려 한다. 책에서 소개한 전략을 참고해 다음과 같이 행동할 것이다. - 전환 줄이기 10분 지연 전략 활용 너무 집중이 안되면 잠시 내려놓고 멀리보며 딴생각을 하기. 휴대폰X (적극적 휴식) - 집중의 대상 바꾸기 딴짓을 독서로 대체 - 양질의 수면 2시간전부터 빛과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고 독서 내가 가장 크게 도움을 받은 것은 전환 줄이기의 중요성을 깨달았다는 점이다. 또한 분열의 반대는 몰입이라는 점을 깨달은 것이다. 단순히 딴짓을 하면 안돼! 집중해야지가 아니라 몰입의 전략을 고민하게 됐다. 몰입 중이었다면.. 2023. 7. 5.
리더십은 삶의 방식이다 (스탠퍼드식 리더십 수업 서평) 책을 읽으며 가장 인상 깊은 문장이 있었는데, ' 좋은 리더가 되기 어려운 이유는, 리더십은 테크닉이 아니라 사람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 라는 문장이다. 이 문장을 통해, 내가 사람으로서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되었다. 나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정론으로 대응하는 성향이다. (이하 메모에 정론이 무엇인지 나온다.) 사람의 감정까지 헤아릴 줄 아는 것이 여전히 부족하다. 감정도 생각하는 것이 언제나 현명한 일임을 되새겨야겠다. 또한 일상 대화에서 꾸준히 실천하려 노력해야겠다. 돈도 목표를 향해가는 과정에서 따라오는 결과물이란 말이 있듯이, 리더 역시 자기 성장의 과정에서 따라오는 결과물이 아닌가 싶다. 메모 리더십은 삶의 방식이다. 먼저 스스로의 리더가 되어야한아. 자기 성장의 달인이 되.. 202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