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골치 아픈 AA 방식에 따른, 고스팅 현상에 대한 여러 해결법을 찾아본다.
TAA는 언리얼4 기본값,
TSR은 언리얼5 기본값이다.
두 AA의 고스팅 현상에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므로, 주의해서 적용한다.
내용
TAA 파티클 고스팅 현상 해결
- TAA에서 머티리얼 설정시
Responsive AA를 켜면 간단히 해결 가능
- TSR에서 머티리얼 설정시
Responsive AA는 별 효과가 없다.
Velocity 역시 켜면 또 다른 아티팩트가 발생한다.
영상에서는 끝내 이 해결법은 소개하지 않음
TAA 고스팅 현상 해결 (언리얼4)
프로젝트 세팅을 아래와 같이 설정
콘솔 변수 입력
아래 변수중, 가장 효과가 뛰어난건 weight 값 수치 조절이다.
0.2에서 점점 높여가면서 최적값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TSR 고스팅 현상 해결
프로젝트 세팅을 아래와 같이 설정
TSR 고스팅 현상 해결 2
템포럴 안티 에일리어싱 (Temporal Anti-Aliasing)
목차 Temporal Anti-Aliasing 이란 구현 방식 할톤 수열 (Halton Sequence) Jittering 적용 혼합 Ghosting 동적 씬에서의 아티팩트 해결 마치며 Reference Temporal Anti-Aliasing 이란 Tmporal Anti-Aliasing(이하 TAA)은 공간축선
xtozero.tistory.com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해 벨로시티 버퍼를 도입해서 해결하는 법
TSR 파티클 고스팅 현상 해결
after DOF, after motion blur를 사용하라는 추천 등
하지만 after motion blur 활성화시,
입자의 밝기가 완전히 달라지고, depth를 무시한다는 한계가 있다.
https://realtimevfx.com/t/ue-5-1-temporal-super-resolution-ghosting/21610/3
UE 5.1 Temporal Super Resolution ghosting
If you render After dof, which is where you’ll want to render the vast majority of your vfx anyway, tsr ghosting seems to have been resolved almost completely, so that’s super nice. Before dof seems to unfortunately be a completely different story. Eve
realtimevfx.com
'이펙트 (FX) > 이펙트 팁 :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콘솔 변수 에디터, 콘솔 변수 트랙 사용법 (CVAR) (0) | 2025.07.07 |
---|---|
[Unreal/Houdini] 언리얼 스켈레탈 메시 후디니에서 파괴하기 (Labs RBD to FBX) (0) | 2025.07.05 |
[Unreal/Niagara] Death 이벤트 발생시 파티클 스폰하는 법 (0) | 2025.06.30 |
[Unreal/Material] 굴절 잘 보이게 DOF 설정하기 (리프랙션, Refraction, Before DOF) (2) | 2025.06.29 |
[Unreal/Material] 텍스처 샘플 UV Seam 문제 해결법 (DDX, DDY, Derivatives, Texture Sample) (1) | 2025.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