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xtlo3/btsLW15Pak0/k5PzZQMV8kcSsHZg4FiAN1/img.png)
개요
후디니에서 마야나 블렌더 등 다른 DCC툴로 넘길때,
각 조각별로 모두 분리돼있어야하며, Transform 정보가 들어가있어야할 때가 있다.
그 방법을 알아본다.
원리
- 원인
1. Copy 문제
통상적으로 시뮬레이션 전, 조각들을 만들 때 orient와 pscale을 랜덤 부여한채로 copy를 하기 마련이다.
그러면 물체들이 orient와 pscale을 반영된 상태가 원상태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transform 정보는 단위 행렬이 되어버려 원하는 초깃값이 담기지 않는다.
2. Export 문제
통상적으로는 ROP FBX Output으로 추출한다.
그러나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으면 transform 정보가 없는 상태로 추출된다.
- 해결법
1. Copy 문제 해결
orient와 pscale을 랜덤을 부여하여 copy 하지 않는다.
copy, assemble 이후에 포인트에다가 랜덤을 부여한다.
시뮬레이션 전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어, 어트리뷰트 값이 적용되지 않는 것 처럼 보인다.
하지만 dopnet에서 시뮬레이션을 실행시키면 곧바로 적용된다.
2. Export 문제 해결
또한, 반드시 Labs에서 제공하는 Labs RBD to FBX 노드를 이용해 추출한다.
이렇게하면 0,0,0값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가 초깃값으로 저장된다.
따라서 transform 정보가 올바르게 추출된다.
후디니 노드 트리
1. Copy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dmm17h/btsLWwZxFcn/X59eFAutNDFkhCEGdOWKGk/img.png)
2. Export 방법
![](https://blog.kakaocdn.net/dn/btKCYC/btsLWwL14oS/LvOmN7GuKSKtHzbyzb4w41/img.png)
첨부파일
20.0 버전의 Hip파일 첨부한다.
Labs가 반드시 설치돼있어야한다.
RBDTransformExport_V0001_init.hip
0.45MB
'이펙트 (FX) > 이펙트 팁 : Houdini' 카테고리의 다른 글
[Houdini/RBD] chopnet을 이용한 RBD 시뮬레이션 Jittering 제거 방법 (조각이 덜덜 떨리는 현상) (0) | 2025.02.03 |
---|---|
[Houdini] HDA에 어트리뷰트 비주얼라이저 버튼 생성하기 (Attribute Visualizer) (0) | 2025.01.29 |
[Houdini/Texture] Copnet에서 시퀀스 이미지로 RGB 스프라이트 시트 텍스처 만들기 (후디니 20.0 구버전 Copnet) (0) | 2025.01.14 |
[Houdini/Modeling] 후디니 반 프로시주얼 모델링 튜토리얼 소개 (메뉴얼 + 프로시주얼) (0) | 2024.12.23 |
[Houdini] 게임용 불 시뮬레이션 쉽게 제작하기 (1) | 2024.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