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86 [Houdini] RBD Cluster 올바른 사용법 개요가끔 군집화를 위해서 RBD Cluster를 사용하다보면, 예상치못한 오류가 발생할 때가 있다.그런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강의를 소개한다. 참고영상https://youtu.be/lCLbuQcO_jQ 기본 개념[00:00:00 - 00:02:40] RBD 클러스터 SOP의 기본 개념 및 초기 설정Fuse Cluster Pieces,Dissolve Exterior Cluster Edges위 두가지 옵션 활성화시, 클러스터 내부의 불필요한 면과 외부의 경계선을 정리한다. Random Detach 기능은 시뮬레이션 및 렌더링 시,보이지 않는 내부 지오메트리를 생성하여 불필요한 연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비활성화할 것을 권장한다. 만약 랜덤이 필요하다면, 아래와 같이 별도 셋업한다.cluste.. 2025. 8. 26. [기타] 크롬 흰화면 무응답 오류 해결법 (Chrome, Google) 개요크롬이 데이터 충돌 문제로 흰화면만 뜨고 무응답인 경우가 있다.해결법을 알아본다. 방법 1. appdata 폴더로 이동윈도우키 + R로 실행창 열기%appdata% 입력 2. 크롬 유저 폴더 경로로 이동 및 백업.../AppData/Roaming 경로로 이동된다.상위폴더인 AppData로 빠져나온 후, Local 폴더로 이동 Google/Chrome 폴더로 이동User Data 앞에 _를 붙여서 다른 이름으로 백업해둔다. 3. 크롬 실행크롬 실행하면 유저 정보가 모두 초기화되고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문제가 해결되었다면 _User Data는 삭제해도 된다. 2025. 8. 26. [Unreal/BP] MI 네이밍 자동화 스크립팅된 에셋 액션 만들기 (파일첨부) 개요MI 생성시 보통 MI_Explosion_001과 같이 네이밍해서 사용하는데,매번 이름 지정이 귀찮아서 만들었다. 함수, 변수 구성_CreateMI는 BP 내부에서만 사용하는, 에디터에 노출되지 않는 함수다.네이밍 컨벤션으로 구분했다. 노드 구성1. 머티리얼 네이밍 검사선택된 머티리얼을 불러와 반복문을 돌리면서 시작한다.Prefix Check는 '노드 접기' 기능을 사용한거다. (내부 노드트리는 바로 아래 그림 참고) 내부 노드트리다.M_ 네이밍 규칙을 따르지 않은 머티리얼은 실행되지 않으며, 에러 메세지를 띄운다. 2. MI 네이밍 규칙 적용현 디렉토리의 모든 에셋을 불러와서 반복문을 돌린다.그 이유는 MI_Explosion_001, 002, 003 등 여러 에셋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 가장 큰 수.. 2025. 8. 26. [Houdini] 뷰포트 색공간을 ACES로 설정하기 (Color Space, ACES의 중요성) 개요색공간은 폭발 텍스처의 퀄리티에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Labs Flipbook Texture도 렌더시, 기본 후디니 sRGB 색공간이 아닌,풍부한 색감을 보여주는 ACES로 렌더하도록 기본값이 설정돼있다. 하지만 이는 렌더시에 적용되기 때문에, 기본 후디니 세팅으로는 다른 색상을 보고 작업하는 문제가 있다.따라서 뷰포트에서 ACES 색상을 확인하는 법을 알아본다. 방법1. 뷰포트 우측 상단에서 Correction Toolbar창을 연다. 2. 뷰포트 하단에 창에서 ACES로 설정한다. 3. 끝 ACES의 중요성https://youtu.be/xgtxqYdQWg8 타임라인별 상세 요약[00:00:07 - 00:04:47] 도입: 실시간 파이로 효과의 현실성 증진 목표 발표자 Mai Ao는 Houdin.. 2025. 8. 24. [AfterEffects] 에프터이펙트 디스크 캐시 삭제하는 법 (용량 확보) 개요에프터이펙트 사용시, 원치않게 임시 파일이 디스크 용량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다.기본 경로가 C로 설정되어있어 경로를 변경하거나, 수시로 지워주고 싶을 때가 있다.그 방법을 알아본다. 방법1. 아래 절차대로 preference창 열기 2. 캐시 지우기하단 그림의 빨간색이 캐시를 지우는 버튼이며,파란색이 경로를 변경하는 버튼이다.그저 용량을 비우는 목적이라면 빨간 버튼만 각각 한번씩 눌러주면 된다. 참고사항각 기능의 목적 항목 (버튼 이름) 주요 목적 저장 내용 관련 작업 Disk Cache (Empty Disk Cache) 컴포지션의 실시간 재생(프리뷰) 속도 향상 렌더링된 최종 이미지 프레임 (녹색 막대) .. 2025. 8. 23. [Photoshop] 텍스처에 간단하게 색수차 넣는 법 개요포토샵을 사용하여 노이즈 텍스처에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효과를 빠르고 간단하게 추가하는 방법이다.채널을 오프셋하는 법이다. 내용https://www.youtube.com/shorts/VGpKGMMRuqI?feature=share 타임라인별 상세 요약[00:00 - 00:07] 최종 결과물 및 준비 단계 영상은 먼저 색수차 효과가 적용된 스크롤링 노이즈 텍스처의 최종 결과물을 보여주며 시작합니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은 튜토리얼을 통해 무엇을 만들게 될지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격적인 작업에 앞서, 이미지의 컬러 모드가 RGB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상단 메뉴의 Image > Mode로 이동하여 RGB Color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는 색상 채널을.. 2025. 8. 22. [개인작품/Unreal] Blood Demon Slash - Realtime VFX 유튜브https://youtu.be/NlFejItBReI 아트스테이션https://www.artstation.com/artwork/BkK4Z6 2025. 8. 20. [Unreal/Niagara] 나이아가라 디버거 사용법 개요나이아가라 디버거 사용법을 간결하게 알려주는 튜토리얼을 소개한다. 내용https://www.youtube.com/shorts/tNIrBevKHLo?feature=share 나이아가라(Niagara) 파티클 시스템을 디버깅하고 최적화하는 데 사용되는 '나이아가라 디버거(Niagara Debugger)' 도구의 주요 기능과 사용법을 소개하는 튜토리얼입니다. 이 도구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파티클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FX를 관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타임라인별 상세 요약[00:00:00 - 00:00:18] 나이아가라 디버거 실행 방법 영상은 나이아가라 디버거를 실행하는 세 가지 방법을 보여주며 시작합니다. 첫 번째는 언리얼 엔진의 상단 메뉴.. 2025. 8. 19. [Houdini] 잉크 이펙트 제작법 소개 (Ink in Water) 개요잉크 이펙트 제작법을 알아본다.실오라기 같은 이펙트 리소스가 필요할 때 굉장히 유용하다.Pop Advect..가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지만, 최적화된 워크플로우를 알려주는 좋은 글이라 소개한다. 내용https://pepefx.blogspot.com/2014/07/ink-in-water.html Ink in WaterA blog about FX techniques, ideas and algorithms developed using Houdini.pepefx.blogspot.com 1. 튜토리얼 개요 및 핵심 아이디어이 튜토리얼은 물속에 잉크가 퍼져나가는 유기적이고 복잡한 형태의 비주얼 이펙트(VFX)를 제작하는 과정을 다룹니다.핵심 아이디어는 두 단계를 분리하는 것입니다.유체 시뮬레이션: 먼저 연기(.. 2025. 8. 19. 이전 1 2 3 4 ··· 66 다음